[정보보안기사 필기 요약 보기]
정보보안기사 필기 요약 #1-1. 정보보호 개요 http://captech.tistory.com/2
정보보안기사 필기 요약 #2-1. 암호학 http://captech.tistory.com/3
정보보안기사 필기 요약 #2-2. 암호학 http://captech.tistory.com/4
정보보안기사 필기 요약 #3-1. 접근통제 http://captech.tistory.com/5
정보보안기사 필기 요약 #4-1. 시스템 보안 http://captech.tistory.com/6
정보보안기사 필기 요약 #5-1. 네트워크 보안 http://captech.tistory.com/7
정보보안기사 필기 요약 #5-2. 네트워크 보안 http://captech.tistory.com/8
정보보안기사 필기 요약 #5-3. 네트워크 보안 http://captech.tistory.com/9
정보보안기사 필기 요약 #6. 애플리케이션 보안 http://captech.tistory.com/10
이번 포스팅은 네트워크 보안입니다. 시스템 보안에서 운영체제, 리눅스 비중이 있었던 것처럼
네트워크 보안에서는 데이터 통신(네트워크)에 관한 기본지식들이 일정 비중을 차지합니다.
네트워크 기술
1. ISDN(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)
- 종합정보통신망, 디지털 정보통신 서비스의 묶음
- B채널(Bearer): 음성과 데이터 전송, D채널(Delta): 신호의 제어
2. 프레임 릴레이(Frame Relay)
- 근거리 통신망과 광역 통신망을 연결하기 위한 고속 전송 서비스
- 프레임이라는 가변적인 크기로 데이터를 조각내어 전송
3. ATM(Asynchronous Transfer Mode)
- 디지털 데이터를 53바이트의 셀, 패킷으로 조각내어 전송하는 전용 접속 스위칭 기술
- 비동기적 처리, 회선 공유를 위해 데이터분할 접속방식인 멀티플렉싱, 큐 이용
- 하드웨어로 구현, 처리가 빠름
4. MPLS(Multi-Protocol Label Switching)
- 패킷의 전송경로를 라우터에서 분석하여 라벨이라는 경로정보를 생성
라우터들은 라벨 스위칭만 하면 되며, 별도의 라우팅이 필요 없음
OSI 7 Layer(Open System Interconnection)
- 개방형 시스템 간 상호 접속을 위한 네트워크 기본 참조모델
- 상위 계층은 사용자의 통신을 도와주는 역할, 하위 계층은 효율적이고 정확한 전송을 담당
1. 물리 계층
- 물리적 링크 설정-유지-해제 및 물리적, 전기적 인터페이스 규정, 선로 별 전송, 인코딩 방식
-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받은 데이터를 비트 단위로 변환하여 수신 측으로 전송
2. 데이터링크 계층
- 물리 계층에서 전송하는 비트에 대한 비트 동기, 식별, 흐름제어 기능, 오류제어 기능
- 헤더에는 데이터 시작 표시, 목적지 주소 포함, 트레일러에는 데이터 오류검출코드
- 논리적 연결제어 LLC(Logical Link Control), 물리적인 접속 MAC(Media Access Control)
-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다루는 데이터 단위를 프레임이라고 부름
3. 네트워크 계층
- 송신 측으로부터 수신 측의 논리적 링크 설정, 상위 계층 데이터를 작은 패킷으로 분할 전송
- 스위칭과 라우팅 두 가지 경로 배정 서비스를 제공
- 스위칭(Switching): 패킷의 수신주소를 보자마자 정해진 방향으로 전송, 라우터보다 빠름
- 라우팅(Routing): 라우팅 테이블을 찾아서 알고리즘으로 최단 경로 계산하여 경로 선택, 느림
- 물리주소는 패킷이 이동될 때마다 변경되지만, 네트워크 주소는 송신-발신까지 변함없이 유지
4. 전송 계층
- 두 사용자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종단 간(End-to-End) 제어를 담당
- 송신 컴퓨터의 프로세스에서 수신 컴퓨터의 프로세스까지의 전달
5. 세션 계층
- 특정 프로세스 사이에서 세션이라 불리는 연결을 확립하고 유지하며 동기화
- 표현 계층으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효율적인 세션 관리를 위해 짧게 나눈 후 전송 계층에 보냄
6. 표현 계층
- 정보를 송수신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데이터 표현방식을 바꾸는 기능
- 응용 계층으로부터 받은 데이터의 보안과 효율적인 전송을 위해 암호화와 압축
7. 응용 계층
- 응용 프로세스가 네트워크 환경에 접근하는 수단을 제공하여 창구역할 담당
OSI 7 Layer 특징 정리
응용 계층 |
각종 응용 서비스 |
메시지 단위 |
FTP, TFTP, SNMP, SMTP, 텔넷, HTTP |
표현 계층 |
암복호화 압축, 포맷 변환 |
ASCII, Mpeg, jpg | |
세션 계층 |
소켓 프로그램 동기화 세션 연결, 관리, 종료 |
전송모드 결정 (반이중, 전이중 등) NFS, SQL, RPC | |
전송 계층 |
데이터 전송보장 흐름 제어 QoS |
세그먼트 단위 |
TCP, UDP, SSL |
네트워크 계층 |
통신경로 설정, 중계 라우팅, 혼잡제어 데이터그램,가상회선 IPv4, IPv6 |
패킷 단위 |
IP, ICMP, IGMP, RIP, OSPF |
데이터링크 계층 |
오류제어, 매체제어 에러검출, 에러정정 흐름제어 |
프레임 단위 |
ARP, RARP, PPP, SLIP |
물리 계층 |
물리적 연결 설정 전송방식, 전송매체 |
비트 스트림 단위 |
기계적, 전기적 |
TCP/IP
- 데이터링크, 네트워크, 전송, 응용 계층으로 구성
1. 데이터 링크 계층
- 데이터를 전송하는 케이블에 프레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
2. 네트워크 계층
- 주소를 관리하고 라우팅하는 역할
- IP(Internet Protocol): 네트워크 주소 관리, 패킷을 라우팅
- ARP(Address Resolution Protocol): 같은 네트워크 호스트의 하드웨어 주소(MAC) 얻음
- ICMP(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): 패킷 전송에 관한 에러 메시지 처리
3. 전송 계층
- 호스트 간 통신을 제공하는 역할, 2개의 프로토콜
- TCP: 연결 지향, 데이터의 확실한 전송을 위해 받았다는 메시지를 요구할 필요 있을 때
- UDP: 비연결 지향, 패킷의 정확한 전달을 보장하지 않음
4. 응용 계층
- 어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에 접근 가능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기능 역할
포트 주소
- 메시지가 서버에 도착했을 때 전달될 특정 프로세스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
- 포트 번호는 16비트이며 0~65535까지 있음
0~1023: Well Known Port, 1024~65535: 지정되지 않은 영역
21: FTP
22: SSH
23: Telnet
25: SMTP
42: 호스트 네임 서버
53: 도메인 네임 서버
80: HTTP,
88: Kerberos,
110: POP3 메일수신,
118/156: SQL 서비스,
161: SNMP 네트워크 관리
TCP/IP 프로토콜
1. IP
- TCP/UDP, ICMP, IGMP 데이터는 IP 데이터그램을 사용하여 전송
* IGMP(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): IP 멀티캐스트를 위한 규약
(1) 비신뢰성: IP 데이터 그램이 성공적으로 도달함을 보장하지 않음, 상위 계층에서 제공
(2) 비접속형: 통신하는 호스트 사이에 연결설정 없이 패킷을 전송
(3) 주소 지정: 패킷은 IP 주소를 기반으로 목적지까지 전달
(4) 경로 설정: 목적지의 주소로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최적의 경로를 설정
2. IPv4 주소
- 네트워크 ID 비트 수에 따라 A, B, C, D 클래스
- 서브네팅: 이진수로 1인 부분은 네트워크, 0인 부분은 호스트를 나타냄
- 슈퍼네팅: 부족한 IP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C클래스를 묶음
- CIDR(Classless InterDomain Routing): 부족한 IP 주소를 해결하기 위해
IP와 서브넷 마스크를 이진표기법으로 표현하여 네트워크를 다양하게 분할
CIDR 표기법: 10.217.123.7/20 - 연속된 1이 20개 있다는 것을 의미
- VLSM(Variable Length SubnetMask): IP 할당을 위해 크기가 다른 서브넷을 지원
- NAT(Network Address Translation): 사설 IP를 공인 IP로 바꾸어주는 변환기
3. IPv6 주소
- IPv4의 주소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체계
- IP 주소를 절약하기 위해 사용되는 NAT 변환기술 불필요
- 주소할당은 클래스별 할당이 아닌 유니캐스트, 애니캐스트, 멀티캐스트 주소형태
- 헤더를 고정 길이로 변경, 패킷 단편화 필드 삭제, 체크섬 필드 삭제, 보안기능 탑재
라우팅 알고리즘
- 최적의 경로를 찾는 방법
- 정적 라우팅 알고리즘: 관리자가 직접 라우팅 테이블을 설정
- 동적 라우팅 알고리즘: 네트워크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
라우팅 프로토콜
- 라우팅 테이블을 동적으로 갱신, 네트워크 정보를 생성, 교환, 제어하는 프로토콜
- AS(Autonomous System, 자율 시스템)는 하나의 관리 도메인에 속한 라우터의 집합
- IGP(Interior Gateway Protocol): AS 내 운영되는 라우팅 프로토콜
- EGP(Exterior Gateway Proctocol): AS 간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
(1) RIPv1(Routing Information Protocol)
- 거리벡터 알고리즘 사용, 가장 단순, Bellman-Ford 프로토콜
- 홉수 15 이상 네트워크 사용불가, 회선속도 반영불가, 네트워크 변화 반영 늦음(루프 가능성)
(2) RIPv2
- 서브넷마스크 식별, 경로정보 인증, AS 구별, 브로드캐스트, 멀티캐스트 추가
- 최대 홉수는 16으로 제한되어 확장성 문제는 해결하지 못함
(3) IGRP(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)
- 하나의 매트릭 사용하지만 다양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거리벡터 계산, 변화 반영 빠름
- 멀티 패스 라우팅: 최대 4개의 경로를 관리, 트래픽 부하분산, 링크 자동복구
- 라우팅 루프문제는 여전히 존재, 라우팅 정보 전달 느림
(4) EIGRP(Enhanced 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)
- 수렴속도 빠름, 부분적인 갱신 지원하므로 적은 대역폭 필요
- VLSM 지원, DUAL 알고리즘(Diffusing-Update Algorithm)을 이용하여
네트워크 변화에 대해 패킷의 손실 없이 재라우팅 가능
(5) OSPF(Open Shortest Path First)
- 네트워크에 변화가 생겼을 때만 플러딩을 수행함으로써 신속하게 갱신, 빠름, 트래픽 감소
- 최적경로 계산을 위해 Dijkstra's 알고리즘이라는 링크 상태 알고리즘을 이용
(6) BGP(Border Gateway Protocol)
- AS 간 라우팅 정보를 전달하는 EGP의 일종
- 패스 벡터 알고리즘을 이용, 홉수 대신 AS 번호를 매트릭으로 사용
- 초기에는 전체 라우팅 테이블 교환, 이후에는 변경된 라우팅 테이블만 교환
- BGP 동작은 TCP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신뢰성을 보장
* 플러딩(Flooding): 갱신정보를 인접 라우터로 전송 - 인접 라우터로 전송 반복하는 과정
'Post 3. 개발 일지 > 1. 정보보안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정보보안기사 필기 요약 #5-3. 네트워크 보안 (2) | 2017.08.24 |
---|---|
정보보안기사 필기 요약 #5-2. 네트워크 보안 (0) | 2017.08.20 |
정보보안기사 필기 요약 #4. 시스템 보안 (0) | 2017.08.18 |
정보보안기사 필기 요약 #3. 접근통제 (0) | 2017.08.16 |
정보보안기사 필기 요약 #2-2. 암호학 (0) | 2017.08.16 |
댓글